효능 효과 및 부작용

식혜 효능 효과 및 부작용

고수트 2021. 5. 9. 20:00

식혜 유례 및 원료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에 밥을 삭혀서 만든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료이다. 

식혜의 단어는 먹을 식에 식초, 신 맛, 술 등을 뜻하는 한자어 혜가 결합된 단어로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한자어이다.

식혜를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했는지는 확인할 바가 없으니 문헌상으로는 조선 영조 1740년경 편찬된 수문사설에 처음 기록되어 있다.

그 이후 1800년대의 규곤유람, 시의전서 등에서도 식혜 제조법이 기록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의 행당맥락의 낙을 식혜나 감주무리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한다.

고춧가루로 물을 낸 안동 식혜, 단호박을 삶아 우려낸 호박 식혜, 연잎에 삭힌 연엽식혜 등 종류가 다양하다.

참고로 지역에 따라 식혜를 단술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단술은 누룩을 이용해 발효한 알콜 음료로 식혜와는 엄연히 다른 종류이다.

한편 식혜에서 밥풀을 거른 뒤 솥에 넣고 끓이면 찐득한 조청이 만들어진다. 

 

식혜 효능

1. 위장건강 증진

식혜에는 아밀라아제 및 디아스타제 등의 다양한 소화 효소가 들어있어 소화를 촉진해주고 복부 팽만, 더부룩한 속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또한 식혜의 맥아당, 올리고당은 장에 유익한 비피더스균을 증대시켜 장운동 촉진 및 대장암 예방에도 좋다고 한다.

 

2. 혈관 건강

식혜는 풍부한 식이염유를 함유하고 있어 혈관 속 콜레스테롤 배출을 도와주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고 혈관건강을 강화시켜 동맥경화 예방 및 혈압 안정에 효과적이다.

 

3. 피로회복

식혜는 발효음식 특성 상 양질의 효소, 단백질,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체력 회복 및 신진대사, 혈액순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포도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숙취 해소 및 더운 날 갈증 해소로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4. 피부미용

식혜에는 비타빈B와 누룩공사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세포의 노화와 파괴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피부 보습이나 잡티 제거에 좋아 피부 건강을 강화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한다.

 

5. 산모건강

식혜는 가슴의 유선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동의보감에 기록될 정도로 부작용 없이 젖분비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채내의 멍울을 제거하는 작용도 하여 출산 후 유방통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식혜 부작용

1. 식혜는 산모의 젖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모유수유 중인 사람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식혜는 당이 많이 함유된 음료이기 때문에 과다섭취시 채내 당 수치가 올라갈 수 있어 당뇨나 비만인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