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능 효과 및 부작용 60

식혜 효능 효과 및 부작용

식혜 유례 및 원료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에 밥을 삭혀서 만든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료이다. 식혜의 단어는 먹을 식에 식초, 신 맛, 술 등을 뜻하는 한자어 혜가 결합된 단어로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한자어이다. 식혜를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했는지는 확인할 바가 없으니 문헌상으로는 조선 영조 1740년경 편찬된 수문사설에 처음 기록되어 있다. 그 이후 1800년대의 규곤유람, 시의전서 등에서도 식혜 제조법이 기록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의 행당맥락의 낙을 식혜나 감주무리로 보는 견해도 있다고 한다. 고춧가루로 물을 낸 안동 식혜, 단호박을 삶아 우려낸 호박 식혜, 연잎에 삭힌 연엽식혜 등 종류가 다양하다. 참고로 지역에 따라 식혜를 단술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단술은 ..

수정과 효능 효과 및 부작용

수정과 유래 및 생산지 일명 수전과라고도 하며 계피와 생강을 달인 물에 설탕이나 꿀을 타서 차게 식힌 뒤 곶감과 잣을 띄운 한국의 전통 음료이다. 수정과는 1조선조 영조 41년의 수작의궤 저서에 처음 등장하며, 이후 군학회동, 조선무쌍신시요리제법, 조선요리제법 등 다양한 옛 조리서에 등장했다. 1795년 월행을묘정리궤를 보면 보통 궁중 잔칫상에 올린 수정과의 종류가 20여 가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전통 수정과부터 오미자수정과, 배수정과, 호박수정과 등이 있다. 수정과 만드는 법 준비물 : 생강, 계피, 설탕, 곶감, 잣 1. 냄비에 생강과 물을 넣고 고온에서 10분 간 가열한다. 끓어오르면 중간불로 낮추어 한 시간을 끓여낸 후 면보에 한 번 걸러낸다. 2. 냄비에 계피를 넣고..

사과 효능 효과 및 부작용

사과 유래 및 생산지 장미과 낙엽교목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로 평과, 빈파라고도 한다. 원산지는 발칸반도로 알려져 있으며 B.C. 20세기경 스위스 토굴 주거지에서 탄화된 사과가 발굴된 것을 보아 서양사과는 약 4,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인 능금나무를 재배했으며 고려 의종 때 쓰여진 계림유사에 임금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임금은 능금의 어원으로 조선시대에 쓰인 산림경제에 재배법이 실려있는 것을 보아 18세기 c에 재배가 성행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사과나무의 품종은 700여 종이 되지만 한국에서 유실수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크게 10여 종이며 안동시, 영주시, 봉화군, 의성군, 문경시, 영양군 등이 재배지로 유명하..

비타민C 효능 효과 및 부작용

비타민C 란? 비타민 C는 L-아스코르브산이라 불리는 비타민의 한 종류이다. 식초보다 조금 더 산성이 강한 물질로 4개의 알코올기를 가진 수용성 물질이다. 비타민 C는 거의 모든 과일이나 채소에 들어있는 비타민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육식 동물은 비타민 C 합성 효소를 가지고 있어 체내에서 비타민C를 합성할 수 있지만, 인간의 경우 비타민 C 합성 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으로 반드시 섭취하여야 한다. 비타민 C는 열, 빛, 물, 산소 등에 쉽게 파괴되는 민감한 물질이므로 비타민 C를 보존하려면 가능한 식품을 공기와 접촉하지 않은 찬 곳에서 보관하며 조리할 때는 식품을 짧은 시간에, 가능한 잘게 썰지 않고 조리하는 것이 좋다. 나라마다 비타민 C 1일 권장 섭취량을 다르게 정하고 있는데 세계..

옥수수 수염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옥수수 수염차 유래 및 생산지 말린 후 볶은 옥수수수염을 끓여 만든 차를 말한다. 옥수수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로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다. 꽃이 암꽃과 수꽃으로 나뉘어 피는데 암꽃이 마치 옥수수대 아래쪽에 수염처럼 펴서 옥수수수염이라 흔히 불린다. 옥수수는 밀, 벼와 함께 세계 3대 식량 작물로 분류되며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과 함께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퍼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명나라에서 전달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玉薥薥 또는 玉蜀黍의 중국어 발음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 강냉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옥수수가 중국 강남에서 왔다는 의미로 강남으로 부르다가 강냉이로 전환된 것이라고 한다. 옥수수 수염차 효능 1. 혈관건강 강화 옥수수수염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

도라지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도라지차 유래 및 생산지 생도라지 또는 말린 도라지(가루)를 달여 만든 차이다. 특유의 쓴 맛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라지를 꿀이나 조청에 절인 도라지청을 물에 타먹기도 한다. 도라지는 초롱꽃과 도라지속에 속하는 여려해살이풀로 길경이라고도 부르며, 한자 이름으로는 도랍기, 화상모, 명엽채라고도 불린다.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 널리 자생하며 주로 온대지방의 평지나 해발 1,000m 정도의 양지바른 산맥에서 자란다. 한국의 주요 생산지로는 여주, 이천, 홍천, 삼척, 논산 등이 있다/ 동의보감, 진연의궤, 진찬이궤, 구황찰요 등 문헌 등에 의하면 도라지는 예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온 친근한 식물이었다. 각지에서 전승되는 민요인 도라지타령이 있을 정도로 도라지는 한국인의 겨레와 밀접한 정서로 맺..

루이보스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루이보스차 유래 및 생산지 루이보스 잎을 잘게 자른 후 발효시켜 만든 차이다. 루이보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북쪽에 있는 세더버그 산맥 일대에서만 자생하는 콩과 식물에 속하는 침엽수이다. 루이보스는 아프리칸스어로 붉은 관목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로부터 케이프 지방의 원주민 코이산족은 루이보스 차의 효능을 알고 있어 약초로 채집을 했다고 하며, 케이프지방에 이주한 네덜란드인은 루이보스를 홍차 대용품으로 이용했다고 한다 유럽에는 100여 년 전에 전파되었으며 현재 미국, 일본 등 20여 개국에 보급되어 있다. 루이보스차 효능 1. 뼈건강 강화 루이보스차에는 칼슘, 망간, 불소 등의 무기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튼튼한 골질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골아세포의 활동을 도와 신체의 뼈를 튼튼하게 하는..

페퍼민트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페퍼민트차 유래 및 생산지 페퍼민트 잎을 우려 만든 차를 말한다. 페퍼민트는 1753년 칼 린네우스가 박하속에 속하는 워터민트와 스피어민트를 접목시켜 개발된 새로운 육종으로 향기가 후추의 톡 쏘는 성질과 닮았다고 하여 페퍼민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원산지는 유럽이나 오늘날에는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대표적인 허브 식물의 하나로 뿌리줄기를 가진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주로 습기 있는 땅, 물가나 도랑에서 잘 자란다고 알려져있다. 페퍼민트차 효능 1. 소화기능 증진 페퍼민트는 과식이나 과음으로 인한 메스꺼움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뿐 아니라 장 내 가스 배출과 소화 촉진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퍼민트의 멘톨 성분이 소화불량과 신경성 위염 등의 증상을 완화하여 위장 기능 강화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구기자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구기자차 유래 및 생산지 구기차는 말린 구기자나무 열매나 잎으로 만든 전통차이다. 전통적으로 차는 어린 구기자나무 잎으로 만들어졌으나 오늘날에는 다자란 잎이나 열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매인 구기자로 만든 차를 구기자차라고 부르고, 잎으로 만든 차는 구기엽차라고 부른다. 구기자나무는 가지목 가지과 구기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열매는 구기자라고 부른다. 구기라는 이름은 중국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구는 탱자나무로 가시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기는 고리버들로 나무의 모양을 고리버들에 비유한 것이다. 즉 구기자나무는 탱자나무와 고리버들을 합한 것과 같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구기자나무의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및 유럽이며 재배 역사는 2,000년도 더 된 것으로 알려진다. 중..

히비스커스차 효능 효과 및 부작용

히비스커스차 유래 및 생산지 무궁화의 근연종인 히비스커스(하와이무궁화)의 꽃을 말렸다가 끓여 우려낸 대용차이다. 히비스커스는 아욱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의 하나로 따뜻한 온대 지방과 아열대, 열대지방에서 자란다. 고대 이집트 달의 여신 히비스(hibis)와 닮았다(isco)의 합성어로 아름다운 여신을 닮은 꽃이라는 어원을 갖고 있다고 한다. 원산지는 동인도와 중국인 것으로 알려지며 현재는 하와이나 일본의 오키나와 등 온난한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온실에서 원예용으로 재배된다고 한다. 노란색 히비스커스의 경우 하와이 주의 주화로, 붉은색 히비스커스의 경우 말레이시아의 국화로 지정되어 있다. 히비스커스차 효능 1. 항산화효과 히비스커스에는 페놀산,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등의 성분이..